식품의약품안전청 올해 여름철은 예년에 비해 기온과 해수면 온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선 어패류 등의 취급 및 섭취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장염비브리오균은 바닷물에 존재하는 균으로 20~37℃의 온도에서 증식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여름철에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발생 위험이 가장 크다.
지난해 국내 발생 전체 식중독 중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이 차지하는 비율은 3.6%(9건, 133명)로 그 중 8건(70명)이 해수 온도가 상승하는 6~9월에 집중됐으며, 가장 많이 발생한 시설은 음식점(6건, 52명)이었다.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어패류 섭취 시 수돗물로 충분히 세척하고, 완전히 익혀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어패류 구입 시에는 신속하게 냉장 보관하여 식중독균 증식이 억제되도록 해야 하며, 어패류 조리 시에는 수돗물로 2~3회 충분히 세척하고, 반드시 횟감용 칼과 도마는 구분해서 사용해 교차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조리 후에는 사용한 조리기구를 깨끗이 세척하고 열탕 처리를 하여 2차 오염을 예방한다.
섭취 시 주의사항으로는 여름철엔 어패류를 가급적 날로 먹는 것을 피하고 충분히 가열하여(85℃ 1분 이상) 섭취하도록 한다.
식약청은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 무엇보다도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의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을 지키는 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장염비브리오균은 어패류의 껍질, 아가미, 내장 등에 부착되어 있다가 칼, 도마 등을 통해 다른 음식으로 오염되어 식중독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학교 급식이나 뷔페 등 대형 음식점을 비롯해 해안가 어패류 판매 밀집지역, 횟집 등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2012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기초자치단체(보건소)별로 표본추출된 3세 이상 국민 25,000명을 대상으로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전국단위의 기생충 통계조사가 원활히 실시될 수 있도록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16개 광역시·도청, 216개 보건소 및 한국건강관리협회가 조사수행체계를 구축해 통계자료를 생산한다.
제8차 전국민 장내기생충 감염실태조사 결과는 ‘04년 7차 조사와 비교하여 회충, 구충 등 토양매기 기생충의 재유행 가능성과 간흡충, 요코가와흡충 등 강 유역의 어류매개성 기생충 등 총 11종의 장내기생충의 변화추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실태조사는 16개 광역시·도 총 600개 조사구(9,000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연령별, 지역별 등 사회의학적으로 기생충 감염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국내 및 세계보건기구(WHO)에 통계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제왕절개 분만이 여전히 증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인원이 인구 10만명당 1,105명에서 1,109명으로 연평균 0.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비해 국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자연분만’ 인원은 인구 10만명당 1,659명에서 1,684명으로 연평균 0.5%가 증가했다.
연령별로 인구 10만명당 분만인원과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분만인원이 가장 많은 30~34세의 경우 ‘자연분만’은 2007년 5,169명에서 2011년 5,718명으로 연평균 2.7% 증가했고, ‘제왕절개분만’은 2007년 3,494명에서 2011년 3,628명으로 연평균 1.1%가 증가했다.
동일시기에 25~29세는 ‘자연분만’ 인원이 연평균 4.6% 감소했고, ‘제왕절개분만’ 인원은 연평균 4.5%가 감소했다. 또한, ‘자연분만’은 40~44세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13.7%)을 보였고, 다음으로 35~39세가 11.2%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총진료비(비급여 제외) 분석결과 ‘자연분만’이 2007년 1,429억원에서 2011년 1,998억원으로 연평균 8.9%가 증가했고, ‘제왕절개분만’은 2007년 1,587억원에서 2011년 1,786억원으로 연평균 3.1% 증가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자연분만’과 ‘제왕절개분만’의 1인당 내원일수와 총진료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자연분만’의 1인당 내원일수는 3.2일~3.3일로 나타났고, ‘제왕절개분만’은 6.8일~7.0일로 나타나 ‘제왕절개분만’의 내원일수가 약 2.1배 정도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제왕절개분만’의 1인당 내원일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1인당 총진료비는 ‘자연분만’이 2007년 63만2천원에서 2011년 88만9천원으로 연평균 9.0% 증가했고, ‘제왕절개분만’은 2007년 1백5만3천원 2011년 1백20만6천으로 연평균 3.5%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1인당 총진료비는 ‘제왕절개분만’이 ‘자연분만’ 보다 1.4배 많았다. 34세 미만에서는 1.3배 많았고, 35세~39세는 1.4배, 40세 이상에서는 1.5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자연분만’ 인원은 30~34세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5~29세 > 35~39세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도별로 보면 30~34세의 비중은 2007년 45.7%에서 매년 증가하여 2011년에는 전체 ‘자연분만’ 인원 중 약 50.2%를 차지했다. 반면, 25~29세 연령층의 ‘자연분만’ 비중은 2007년 37.0%에서 매년 감소해 2011년 26.9%로 나타났다.
연령별 ‘제왕절개분만’ 인원도 30~34세가 가장 많았고, 35~39세 > 25~34세 순으로 많았다. 특히, 30세 이상 산모들의 ‘제왕절개분만’ 비중은 2007년 70.0%에서 매년 증가해 2011년에는 79.3%를 차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여름철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오는 7월 2일부터 7월 20일까지 피서지 주변 식품 취급업소에 대한 전국 일제 위생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 대상은 ▲해수욕장ㆍ유원지ㆍ국립공원 등 피서지 주변 식품 취급업소 ▲빙과류ㆍ음료류ㆍ냉면 등 여름철 성수 식품 제조업소 ▲고속도로 휴게소ㆍ역ㆍ터미널ㆍ공항 주변 음식점 ▲패스트푸드점ㆍ패밀리 레스토랑ㆍ커피전문점 등이며, 주요 점검 내용은 ▲무표시 식품 취급 여부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 여부 ▲냉동ㆍ냉장제품의 보존기준 준수 여부 ▲위생적 취급기준과 영업자 준수사항 이행 여부 등이다.
특히, 식품취급업소에서 판매하는 음료류, 빙과류 등 여름철 성수 식품 및 열차 내에서 판매되는 도시락류는 수거하여 기준ㆍ규격 및 식중독균에 대한 적합 여부를 검사한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 점검에 앞서 관련 업체 종사자의 개인위생관리 등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면서, 소비자가 구매하는 식품의 유통기한, 보관기준 등 표시사항을 자세히 확인하고 섭취할 것"을 당부했다.
지난해에는 피서지 주변 식품취급업소 9,871개소에 대한 위생 점검 결과 540개소의 식품위생법 위반 업소를 적발하여 관할 관청에 행정처분을 요청한 바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전국 395개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족구병 표본감시결과, 최근 수족구병 의사환자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에서의 여름철 개인위생 준수를 각별히 당부했다.
수족구병 의사환자를 보면 특히, 만 6세 미만의 영ㆍ유아가 85.5%에 해당되어 어린이집 등에서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수족구병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나, 일부에서 뇌염, 무균성 뇌수막염 등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만일 수족구병에 감염된 영ㆍ유아가 수일 내에 사지위약 등 급성 이완성 마비증상을 보이는 경우 조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또한, 질병관리본부는 수족구병 예방홍보수칙이 담긴 홍보물 10,380개를 지자체에 배포하여 관내 수족구병 예방 관리에 철저를 기할 것을 당부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 비해 싱가포르, 베트남 등 주변국에서 수족구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들 국가를 방문할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수족구병 예방수칙>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 엄마와 아기가 함께 외출 전ㆍ후, 배변 후, 식사 전ㆍ후
- 산모, 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 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는 아기 기저귀 교체 전ㆍ후 철저히 손 씻기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의 청결 지켜주기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진료를 받고 타인과 접촉을 최소화하기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은 철저히 세탁하여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