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홈페이지정보 바로가기

새소식

의료계소식

엠서클의 다양하고
새로운 소식을
가장 빠르게
만나보세요
  • 암 유병자 100만명 시대, 5년 생존율은 64.1%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이진수)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암유병률 통계를 발표했다. 2010년 일년 동안 암으로 진단받은 암발생자는 202,053명(남 103,014명, 여 99,039명)으로 2009년 194,359명 대비 4.0%, 10년 전인 2000년 101,
    내용 보기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이진수)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암유병률 통계를 발표했다.

    2010년 일년 동안 암으로 진단받은 암발생자는 202,053명(남 103,014명, 여 99,039명)으로 2009년 194,359명 대비 4.0%, 10년 전인 2000년 101,772명 대비 98.5% 증가했다.

    남자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순이었고 여자는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으로 ‘09년과 동일했다.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최근 5년(2006~2010년)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64.1%로, 2001~2005년 5년 생존율 53.7% 대비 10.4%p 향상됐다.

    인구

    2001~2005년 발생 암환자의 10년 생존율은 49.4%로, 1996~2000년 10년 생존율 40.6% 대비 8.8%p 향상됐다.

    전국단위 암통계가 처음 집계된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암을 진단받고 2011년 1월 1일 현재 생존하고 있는 암유병자는 총 960,654명으로 암치료를 받고 있거나 암완치 후 생존하고 있는 암경험자수가 약 100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신규 암환자수는 남자 103,014명, 여자 99,039명으로 총 202,053명으로 집계되었다.

    남녀를 합해 2010년에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다음으로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유방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2009년(100,086명)에 비해 암환자수가 2,928명 증가하였는데, 이 중 갑상선암 1,030명(35.2%)과 전립선암 444명(15.2%)이 남자 암발생자수 증가의 50%를 차지했으며, 여자의 경우 2009년(94,273명) 대비 4,766명이 증가, 이 중 갑상선암 2,702명(56.7%)과 유방암 735명(15.4%)이 여성암 증가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 미허가 줄기세포치료제 시술 주의하세요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줄기세포를 체외에서 배양·증식하는 등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조작을 한 경우 세포의 조작·배양 과정 및 투여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가능성 등을 검증해야 하므로, 반드시 식약청장의 임상시험 승인과 의약품 허가를 거쳐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작용 가능성이란
    내용 보기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줄기세포를 체외에서 배양·증식하는 등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조작을 한 경우 세포의 조작·배양 과정 및 투여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가능성 등을 검증해야 하므로, 반드시 식약청장의 임상시험 승인과 의약품 허가를 거쳐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작용 가능성이란 유전자 변형 발생 가능성, 세포의 일시 투입에 따른 부작용 가능성, 자연상태에서 인체 내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 투여시 체내에서의 작용에 대한 예측 불가능성, 종양유발 우려 등을 의미한다.

    미국·유럽 등 의약선진국에서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세포를 배양·증식하는 등 조작을 한 경우에는 의약품으로서 관리하고 있다.

    시험관

    미국(21CFR 1271)은 최소한의 조작 범위를 넘어서서 제조한 세포(예, 배양한 줄기세포)는 의약품으로서 관리하고 있으며, 유럽(EC Reg.1394)도 미국과 유사하게 상당한 조작을 가한 세포는 ATMP(Advanced Therapy Medicinal Product)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정부는 줄기세포치료제가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 절차를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도록 관리하는 한편,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R&D 지원(’12. 1,004억원)과 함께 안전성·유효성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가세포치료제에 대한 일부 절차를 면제하는 등 신속한 제품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병행하고 있다.

    허가받은 국내 줄기세포치료제는 현재까지 하티셀그렘-에이엠아이(에프씨비파미셀), 카티스템(메디포스트), 큐피스템(안트로젠)등 3품목이며, 임상시험 진행 중인 품목은 총 23개이다.

    또한 유병인구가 적은 희귀질환에 사용되는 의약품은 환자의 치료기회 확대를 위해 조건부 3상 품목허가를 실시하고 품목허가 전이라도 중대한 질환을 치료해야 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의 경우에는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사용을 승인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식약청은 최근 언론을 통해 보도된 바와 같이 허가받지 않은 줄기세포치료제는 안전성과 유효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은 만큼 해외 의료기관 등을 통해 시술받는 일이 없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 청소년 4명 중 1명 '자살 생각한 적 있다'
    청소년 4명 중 1명은 최근 1년 간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으며 1/3 이상은 학업·진로 문제로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전국 16개 시도 300여 개 초·중·고교생 8745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6월 두 달 동안 진행한 '2010 한국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 드러났다. 조
    내용 보기

    청소년 4명 중 1명은 최근 1년 간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으며 1/3 이상은 학업·진로 문제로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전국 16개 시도 300여 개 초·중·고교생 8745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6월 두 달 동안 진행한 '2010 한국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 드러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3.4%의 청소년이 최근 1년간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중 14.4%는 실제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학생

    응답한 청소년의 3분의 1 이상인 36.7%는 학업·진로 문제로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으며, 가정불화(23.7%), 학교폭력(7.6%), 경제적 문제(2.6%), 이성 문제(2.1%), 외모 문제(1.9%) 등이 뒤를 이었다.

    여학생(29.7%)이 남학생(17.4%)보다, 중학생(29.3%)이 초등학생(16.7%)이나 고등학생(24.7%)보다 자살을 생각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 연령에 걸쳐 스트레스의 가장 큰 요인으로 학업을 꼽았다. 고등학생 응답자 중 74.3%는 현재 학업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중학생과 초등학생 응답자 비율도 각각 64.7%, 31.5%로 나타났다.

  • 음주상태 스스로 진단해보세요
    # 평소에 술을 즐기는 직장인 A씨, 주변에서는 술을 너무 많이 마시는 것 아니냐는 말을 자주 듣지만 자신의 음주수준이 정확히 어느 정도인지 알 수가 없었다. 하지만 블루터치 홈페이지에 있는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 자가검사도구(AUDIT-K)’를 통해 음주 습관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충격을 받아 요즘 금주를 실천하고 있다. 평소 음주량 관리를 스스로
    내용 보기

    # 평소에 술을 즐기는 직장인 A씨, 주변에서는 술을 너무 많이 마시는 것 아니냐는 말을 자주 듣지만 자신의 음주수준이 정확히 어느 정도인지 알 수가 없었다. 하지만 블루터치 홈페이지에 있는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 자가검사도구(AUDIT-K)’를 통해 음주 습관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충격을 받아 요즘 금주를 실천하고 있다.

    평소 음주량 관리를 스스로 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블루터치 홈페이지(http://www.blutouch.net/)를 통해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 자가 검사도구(AUDIT-K)를 링크 중에 있으며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음주수준을 직접 측정해 볼 수 있다.

    알코올사용장애란 무분별한 음주습관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장애를 초래하는 상태를 말하며, 알코올 남용과 알코올 의존 등이 있다.

    술

    AUDIT-K는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의 약자로 세계적으로 신뢰를 얻고 있는 AUDIT를 국내실정에 맞게 수정한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 검사도구다.

    AUDIT-K는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성은 10~19점, 여성은 6~9점까지 위험 음주 단계이며 남성 20점 이상, 여성 10점 이상일 경우 알코올 사용 장애 추정 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여성과 남성의 기준 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알코올 분해효소 자체가 여성이 남성보다 적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알코올 사용 장애 추정 군, 즉 알코올 위험 군에서는 남성이(38.3%), 여성보다(8%)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알코올 의존율에서는 여성(78%)이 남성(46.2%)보다 높았다.

    서울시는 한국사회의 음주에 대한 관용적인 태도 및 인식부족으로 많은 시민이 본인의 음주문제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거나 자각하고 있다 하더라도 심각하지 않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고 판단해 알코올 사용장애 추정군으로 나온 시민에게 자신의 음주 정도에 대해 뒤돌아보고 필요할 때 전문가와의 상담을 받아보도록 권고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2011년 정신질환 역학조사에 따르면 서울시민 가운데 89만명이 물질 및 행위 중독성 질환에 이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평생 한 번 이상 병적 음주로 이환되는 비율은 2011년 기준 서울시 인구 중 141만 명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중독은 진행성 질환으로 문제를 자각하였을 때는 이미 증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경우가 많다.

    알코올 자가검진 및 그 외 알코올중독 관련 서비스 문의는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2133-7545), 서울시정신보건센터 중독관리팀 (3444-9934, 내선230~233)으로 하면 된다.

  • 서울시, 119 내에 ‘서울 건강콜센터’ 설치
    앞으로 119를 누르면 24시간 365일 화재신고 뿐만 아니라 전문의에게 건강상담도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119 통합상황실 내에 ‘서울 건강콜센터’를 설치해 국번 없이 119만 누르면 구급차 응급출동부터 전문의 상담까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그동안 단순 안내에 그쳤던 의료관련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시민에게
    내용 보기

    앞으로 119를 누르면 24시간 365일 화재신고 뿐만 아니라 전문의에게 건강상담도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119 통합상황실 내에 ‘서울 건강콜센터’를 설치해 국번 없이 119만 누르면 구급차 응급출동부터 전문의 상담까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그동안 단순 안내에 그쳤던 의료관련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시민에게 도움이 되는 건강 상담으로 확대하고, 특히 야간·휴일의 서비스 틈새를 메우기 위해 실시하게 됐다.

    콜

    그동안 서울시는 응급의료정보센터(1339, 지난 6월 119로 기능 이관), 서울종합방재센터(119), 120 다산콜센터 등을 통해 의료 관련 안내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주로 병의원 안내,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출동, 보건소 관련 안내서비스 등을 주로 실시해 적극적인 건강상담이 이뤄지지 못했다.

    또, 민관의료기관에서의 짧은 진료시간 및 상담부재로 전문적인 상담 기회가 턱없이 부족했고, 야간·휴일의 경우 만성질환자의 추가적인 의료기관 이용 및 상담이 어려워 부적절한 의료이용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센터에는 24시간 전문의 5명이 교대로 상주해 전문 상담을 하게 된다.

    센터에 전화가 접수되면, 우선 응급·비응급에 따라 환자분류가 이뤄진다. 비응급 환자는 우선 기본 상담을 하고, 필요 시 전문의 상담을 받게 된다.

    또. 구조·구급·화재 등의 응급상황은 접수 즉시 출동하며, 전문의 상담 중에라도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응급출동은 이뤄진다.

    아울러 서울시 홈페이지(http://health.seoul.go.kr/healthcall)를 통해 온라인 건강상담도 가능하며, 앞으로는 안과, 피부과 등 비필수 의료분야에 대해서도 전문의 상담을 시행할 예정이다.

    119 통합상황실 내에 ‘서울 건강콜센터’에선 영어·일어·중국어·몽골어·베트남어 5개 국어의 외국어 의료안내 서비스도 365일 24시간 제공된다.

    특히, 영어·일어·중국어의 경우 단순 외국어 통역을 넘어 의료 지식과 경험이 있는 총 10명의 의료전문 통역 인력이 교대하며 상주, 보다 전문화 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몽골어·베트남어는 자원봉사로 1명씩 배치된다.

    또한, 외국인 의료서비스는 유관기관인 120다산콜센터, 서울글로벌센터, 외국인 진료소, 서울소방방재센터와 협력 및 연계 체계를 구성해 종합적인 서비스로 제공된다고 시는 밝혔다.

    향후 시는 외국인 의료서비스 안내와 일부 유관기관의 협력체계를 구축해 외국어 종류를 확대하는 한편, 통역자원봉사자 모집·인력풀 구성으로 외국인의 안전하고 편리한 의료 환경을 지속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김경호 서울시 복지건강실장은 “이제 서울 시민은 의료에 관련된 사항은 여러 번호를 고민할 것 없이 ‘국번 없이 119’로 전화하면 응급출동에서 전문적인 의료상담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됐다”며, “서울건강콜센터를 통해 시민들이 목말라하던 전문적인 건강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365일 시민의 의료접근성을 향상 시키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