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홈페이지정보 바로가기

새소식

의료계소식

엠서클의 다양하고
새로운 소식을
가장 빠르게
만나보세요
  • 7월부터 75세 이상 노인틀니 건보 적용
    오는 7월부터는 75세 이상 노인의 완전 틀니에 대해 50%의 건강 보험이 적용된다. 또한, 다음 달부터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가 의원에서 외래진료를 지속적으로 받으면 진찰료 경감 혜택을 받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의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통과됐다고 밝혔다. 75세 이상 노인의 완전 틀니 50% 보험적용 실시
    내용 보기

    오는 7월부터는 75세 이상 노인의 완전 틀니에 대해 50%의 건강 보험이 적용된다. 또한, 다음 달부터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가 의원에서 외래진료를 지속적으로 받으면 진찰료 경감 혜택을 받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의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통과됐다고 밝혔다.

    75세 이상 노인의 완전 틀니 50% 보험적용 실시
    오는 7월부터는 75세 이상 노인의 완전 틀니에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틀니비용의 50%만 본인이 부담하게 된다.

    노인

    노인틀니 수가는 100만 원 이하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약 39만 명의 노인들이 종전의 145만 원 정도의 비용에서 1/3수준으로 줄어든 약 50여만 원의 비용부담으로 완전 틀니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저작기능 개선 등으로 노인건강수준 향상이 기대된다.


    임신출산진료비(고운맘카드) 지원금 확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로 60만여명의 임산부에 현행 40만원씩 지원되던 임신ㆍ출산 진료비 지원금(고운맘카드)이 오는 4월부터는 50만원으로 지원 확대가 된다.

    고운맘카드는 임신ㆍ출산과정의 검사ㆍ분만 등에 지출되는 임산부의 진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지급되는 바우처 카드로 ‘08년(20만원) 이후 매년 10만원씩 지원금을 확대하여 출산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자 했다.

    의원을 지속적 이용하는 환자의 진찰료 일부 경감
    오는 4월부터는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가 의원에서 외래진료를 지속적으로 받으면 다음 진료부터 해당 질병의 진찰료 본인부담률이 감면(30%→20%)되어 방문당 920원의 경감 혜택을 받게 된다.

    이를 통해 고혈압ㆍ당뇨병 환자의 체계적인 질환관리로 국민건강을 증진하고 1차의료(동네의원)를 활성화시켜 환자와 국가의 의료비용 절감이 기대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보험료 부담과 보험재정 사용을 보다 공평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2011 건강보험료 46조 2천억, 10년동안 2.5배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서 발간한 ‘2011 건강보험주요통계’에 따르면, 2011년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46조 2,379억원으로 지난 10년간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건강보험 총 진료비 중 65세 이상 노인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33.3%인 15조 3,76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노인진료비 14조 1,350
    내용 보기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서 발간한 ‘2011 건강보험주요통계’에 따르면, 2011년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46조 2,379억원으로 지난 10년간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뒷모습

    2011년 건강보험 총 진료비 중 65세 이상 노인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33.3%인 15조 3,76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노인진료비 14조 1,350억원 대비 8.8% 증가한 것으로 2002년부터 10년간 평균 16.9%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인구고령화와 노인 의료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65세 이상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2002년 9만4,405원에서 2011년 24만7,166원으로 2.6배 이상 증가했다.

    건강보험 가입자(피부양자 포함)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7만 8,159원, 65세 미만은 5만8,927원, 65세 이상은 24만7,166원이었다. 2002년 수치와 비교하면 65세 미만은 101.44%, 65세 이상은 161.81% 증가하여 노년층 진료비가 비노년층 진료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65세 이상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02년과 2011년 진료비를 비교한 결과, 65~74세에서 127.81%, 75~84세에서 198.79% 증가했다. 특히, 85세 이상에서는 427.08% 증가해 진료비 증가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이 부담한 보험급여비는 2011년 36조 560억원으로 전년도 33조 7,965억원보다 2조 2,595억원(6.7%) 증가하였다.
    이 중 요양기관에 지급한 2011년 요양급여비는 34조 5,652억원으로 총진료비의 74.8%를 차지하였으며, 전년동기 32조 4,968억원보다 2조 684억원(6.4%) 증가하였다.
    그 밖에도 현물급여 중 건강검진비는 8,832억원으로 전년대비 10.0% 증가하였고, 현금급여 중 임신·출산 진료비는 1,664억원으로 전년대비 39.6% 증가하였다.

    요양급여비를 요양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전체 요양급여비 34조 5,652억원 중 종합병원급 이상이 10조 9,262억원으로 전체의 31.6%를 차지하였으며, 의원급(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은 9조 7,058억원으로 전체의 28.1%를 차지하였다.

    병원급(병원, 요양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포함) 요양급여비는 5조 34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3.8%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중 요양병원은 1조 6,108억원으로 22.9% 증가, 한방병원은 1,085억원으로 15.7% 증가하여 다른 요양기관에 비해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건강보험료 총 부과액은 32조 9,22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5.7% 증가하였으며, 직역별로 보면 직장보험료가 26조 1,416억원(전체부과액의 79.4% 차지), 지역보험료는 6조 7,806억원이었다.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는 직장 가입자의 경우 세대당 월평균 82,802원의 보험료를 부담했고, 이를 적용인구 1인당으로 환산한 월평균 보험료는 33,009원이다.
    또한, 지역세대의 경우는 월평균 72,139원의 보험료를 부담하였고, 적용인구 1인당으로 환산하면 월평균 보험료는 35,022원이다.

    2011년 지역보험료 징수금액은 6조 6,851억원이었으며, 징수율은 98.6%(전년대비 1.1%p 상승)로 2002년 이후 가장 높은 징수율을 보였다.

  • 국민 40% 점심 후 이 안 닦아
    우리 나라 국민의 40% 정도는 점심 식사 후 이를 닦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2010년 8월부터 2개월간 만 19세 이상 22만 9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이 점심 후 칫솔질을 하는 비율이 약 10%정도 낮아 치아 관리에 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점심 후 칫솔질을 하는 비율이 가
    내용 보기

    우리 나라 국민의 40% 정도는 점심 식사 후 이를 닦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2010년 8월부터 2개월간 만 19세 이상 22만 9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이 점심 후 칫솔질을 하는 비율이 약 10%정도 낮아 치아 관리에 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점심 후 칫솔질을 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광주(66.8%)였으며, 대전(66.2%), 서울(63.1%), 울산(62.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남녀간 칫솔질 비율을 살펴보면, 남성은 58.6%인데 비해 여성은 67.5%로 남녀간에 8.9%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지역 중 제주도의 경우 여성은 56.3%였으나 남성은 44%에 그쳤다. 남성의 칫솔률이 60%를 넘는 곳은 광주(62.2%), 대전(61%) 등 두 곳에 불과했다.

    칫솔질

    연령별로는 점심 후 칫솔률이 나이가 많을수록 낮았다. 60대의 경우 제주는 37.3%, 경북은42.7%, 충북은 42.8%이었으며 70대 이상은 이보다 더 심각해 울산 31.5%, 전남 31.9%, 충북 34.6%, 제주 35%, 충남 35.3%에 그쳤다.

    서울대치대 류인철 교수는 "아침이나 저녁에는 이를 닦아도 점심식사 후에는 지나치는 사람이 많으나 음식물찌꺼기 등 입 속 세균이 구취를 유발하고 잇몸을 공격하기 때문에 빠뜨려선 안된다"고 조언했다.

  • 매일 마시는 커피, 어디에서 수입될까?
    모닝 커피로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길거리엔 유명 커피 전문점들이 즐비해 있다. 이미 국민의 기호 식품으로 자리잡은 커피는 원두에 따라 맛이나 향이 달라지는데, 원산지에 따라 여러가지 풍미를 내는 원두는 주로 어느 나라에서 수입되는 것일까.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우리나라 국민이 즐겨 찾는 기호식품인 커피의 지난 11년간(‘01~’11년)
    내용 보기

    모닝 커피로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길거리엔 유명 커피 전문점들이 즐비해 있다. 이미 국민의 기호 식품으로 자리잡은 커피는 원두에 따라 맛이나 향이 달라지는데, 원산지에 따라 여러가지 풍미를 내는 원두는 주로 어느 나라에서 수입되는 것일까.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우리나라 국민이 즐겨 찾는 기호식품인 커피의 지난 11년간(‘01~’11년) 수입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83개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은 베트남(38%), 브라질(15%), 콜롬비아(11%)로 이들 3개국이 전체 커피 물량의 64%를 차지한다고 최근 밝혔다.

    커피 수입량은 2001년 7만9526톤에서 지난해에는 12만3029톤으로 1.6배 증가했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2001년 8천만달러에서 2011년 6억6천8백만달러로 8배나 증가했다.  

    이는 원두 농가의 인건비 상승, 원자재 펀드 자금 유입 등으로 인한 원두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입 물량 상승폭에 비해 커피 수입 가격 상승폭이 훨씬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커피

    국내 커피 물량의 대부분이 원두 형태(88%)와 일부 볶은커피 등 가공커피 형태(12%)로 수입되고 있으며, 원두는 주로 동남아시아와 남미 지역에서, 가공커피의 경우 미국, 이탈리아 등 주요 커피생산지 이외의 국가에서 수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두 수입량은 지난 11년 간(‘01~’11년) 금액 기준으로 6.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두 수입량 증가는 국내 커피 전문점 증가 및 국내 가공 수요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해석된다.

    주요 가공커피 수입국은 지난 11년간 ▲미국 2만7714톤(33%) ▲브라질 1만3290톤(16%) ▲일본 8378톤(10%) ▲이집트 5410톤(6%) ▲이탈리아 4752톤(6%) 순으로 나타났다.

    식약청은 하루 커피 소비량이 에스프레소 3천7백만잔에 해당하는 약 300톤으로 경제활동인구가 하루에 커피 한잔 반을 소비하는 양이라며, 1일 카페인 권장량 400mg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2011년 원두 수입량 기준)

    한편, 식약청은 안전한 커피가 수입되도록 곰팡이 독소 오염 여부, 유해물질(의약성분 등) 함유 여부 등의 검사를 철저히 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원전사고 이후 일본에서 수입되는 커피는 매 수입 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해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은 커피만 수입되었다고 밝혔다.

  • ‘인공유방’ 부작용 발생 1위, 전체 60%이상 차지해
    지난해 발생한 의료기기 부작용 중 60%가 가슴 확대 수술 등에 쓰이는 인공유방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11년 의료기기 부작용 보고건수가 717건으로 전년도 대비 5배 이상 급증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 3년간 부작용 보고건수가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은 의료기기 부작용 보고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는데다 고령화 사회
    내용 보기

    지난해 발생한 의료기기 부작용 중 60%가 가슴 확대 수술 등에 쓰이는 인공유방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11년 의료기기 부작용 보고건수가 717건으로 전년도 대비 5배 이상 급증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 3년간 부작용 보고건수가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은 의료기기 부작용 보고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는데다 고령화 사회 영향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가슴

    특히 인공유방의 경우 지난해 부작용 보고건수가 428건으로 전체 부작용 보고건수(717건)의 59.7%를 차지해 가장 높았으며, 그 사유는 제품파열이 199건으로 가장 많았고 구형구축(115건), 제품누수(90건) 등의 순이었다.

    인공유방 다음으로는 소프트콘택트렌즈(30건), 조직수복용생체재료(25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소프트콘택트렌즈는 제품을 착용한 후 눈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1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물감(6건), 염증(3건), 충혈(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약청은 앞으로도 안전한 의료기기의 사용 환경을 조성하고 부작용 정보를 수집 및 평가하는 등 선진화된 부작용 정보관리 체계를 구축해 부작용 예방 등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TOP